비누·손소독제가 코로나 바이러스를 죽이는 원리 무슨 원리로 비누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걸까요? 사실 바이러스라는 족속은 태어날때부터 신체적 한계가 있답니다. 코로나 바이러스의 털은 단백질이지만 가죽은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. 비누가 이 가증스런 녀석을 처단하기에 너무나 용이한 신체구조라는 뜻이랍니다. 한번 실험을 해볼까요. 여기 기름, 물, 비누가 있습니다. **글 및 사진 무단 복사 금지** 알다시피 기름과 물은 섞이지 않죠. 여기에 비누를 넣으면? 비누를 넣고 흔들자.. 완전히 섞여버렸네요. 이유가 뭘까요? 비누는 바이러스를 모조리 사멸시킬 수 있는 아주 치명적인 무기를 가지고 있는데요. 그 공포의 무기는 바로 계면활성제입니다. 계면활성제는 자석같은 물질입니다. 물에 달라붙는 파란 부분과..
'한국 젓가락'이 납작하게 쇠로 만들어진 속깊은 이유 일본 중국 한국에서 쓰는 젖가락 종류를 모아 본건데 겉으론 별 차이 없죠? 하지만 한국은 쇠 젓가락이 기본이고 일본과 중국은 나무젖가락을 사용하죠. 그리고 자세히 들여다보면 젖가락의 모양도 조금씩 달라요. 특히 중국 젓가락은 유난히 길어서 제일 눈에 띄는데요. 중국의 긴 젖가락 먼저 중국의 젖가락을 보면 일본 한국과 달리 길어요. 이렇게 중국 젖가락이 긴 이유는 중국 송나라 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. 중국은 송나라 시대부터 식탁 중앙에 요리를 놓고 덜어 먹느라 젓가락이 길어야 했어요. 또 중식에는 기름을 사용한 튀김 및 볶음 요리가 많아서 식사 할때 젓가락의 보존을 위해서 대나무 소재로 굵게 만들었고요. #생활정보 #식사 #일본 #한국 #중국 #젓가락..
팬케이크 얼마나 먹어봤니? 나라별 15가지 팬케이크! 팬케이크 좋아하세요? 보통 ‘팬케이크’ 하면 미국식의 달콤하고 따뜻한 느낌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. 그런데 이 팬케이크가 나라별로 맛이 천차만별이란 거 알고 있나요? 미국부터 스리랑카까지, 오늘은 15개 나라별로 각양각색 맛을 지닌 팬케이크를 소개합니다. 1. 팬케이크/ 미국 미국은 도톰하고 폭신한 팬케이크로 유명합니다. 미국식 팬케이크는 바나나, 블루베리, 메이플 시럽, 그리고 바삭한 베이컨 등이 함께 나와요! 2. 카차파스/ 남미 카차파스는 스위트콘으로 만든 두툼한 팬케이크랍니다.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 곳곳의 노점에서 슬라이스 치즈를 곁들인 카차파스를 먹을 수 있어요! 3. 도사/ 동남아시아 얇고, 톡쏘는 맛이 나고, 바삭하고, 반질반질한 도사는..
중국여행 중에만 볼수 있다는 기괴한 진풍경 13 중국 영화를 보면 걸어 다닐 때 손을 소매 속에 넣고 다니죠? 이런 이미지 때문인지 서양인은 중국인이 옷소매 속에 뭔가 예기치 못한 것을 숨기고 있다고 믿는 것 같습니다. 약간 괴짜 같다는 의미겠죠. 근데 실제로 중국여행을 가보면 이런 괴짜 이미지가 거짓말이 아니라고 합니다. 서양인은 물론 한국인도 예기치 못했던 중국여행 중에만 볼 수 있는 기괴한 진풍경 13을 뽑아봤습니다. 1. 월마트에서 파는 상어와 악어 보통 마트에 가면 고기는 가져가기 편하라고 부위별로 잘라서 판매하죠? 근데 중국 월마트에선 상어와 악어를 부위별로는 안 팔고 통째로만 팝니다. 전시라도 하려는 걸까요? 2. 경찰견 대신 경찰거위? 중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중국 경찰이 개 대신에 거위를 ..